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

메모하는습관

프로필사진
  • 글쓰기
  • 관리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RSS

메모하는습관

검색하기 폼
  • 분류 전체보기 (113)
    • 티스토리 꾸미기 (1)
      • 악세사리 (1)
      • 사이드바 (0)
      • 스킨 (0)
    • 프로그래밍 (55)
      • Java (12)
      • ASP (0)
      • Javascript (11)
      • VB Script (1)
      • Python (0)
      • HTML & CSS (2)
      • ASP.NET (8)
      • C# (8)
      • XML (4)
      • PHP (2)
      • Ruby (1)
      • Mobile (0)
      • Go (5)
      • Tip & Trick (1)
      • Node.js (0)
    • 개발툴 (4)
      • Eclipse (4)
    • 운영체제 (18)
      • 리눅스 (16)
      • 윈도우 (1)
      • MacOSX (0)
    • 데이터베이스 (33)
      • MSSQL (10)
      • ORACLE (0)
      • MySQL & MariaDB (4)
      • PostgreSQL (19)
    • 웹 서버 (2)
      • Apache (0)
      • IIS (0)
      • Tomcat (1)
      • Nginx (1)
    • 게임 (0)
      • 와우 애드온 (0)
      • 와우 프리섭 (0)
      • 와우 매크로 (0)
    • 기타 (0)
  • 방명록

운영체제/리눅스 (16)
[CentOS 7] gitlab https 설정

참고 : https://gitlab.com/gitlab-org/omnibus-gitlab/blob/master/doc/settings/nginx.md * 이 글은 이미 인증서를 가지고 있는 경우의 내용이며 yum을 사용하여 gitlab를 설치한 경우 이다.* 그리고 아래의 내용은 gitlab.example.com 도메인 사용한 예시 이다. 인증서 파일 복사 (root 권한 사용)# etc/gitlab/ssl 폴더 생성 $ mkdir -p /etc/gitlab/ssl # 인증서 파일을 gitlab의 ssl 폴더에 복사 $ cp [인증서 파일].crt /etc/gitlab/ssl $ cp [인증서 파일].key /etc/gitlab/ssl GitLab 설정 파일 열기 (root 권한 사용) $ vi /etc..

운영체제/리눅스 2018. 7. 6. 17:43
[CentOS 7] gitlab 백업

Backup yum을 사용하여 gitlab을 설치한 경우 아래의 명령 사용 $ sudo gitlab-rake gitlab:backup:create위 명령을 실행하고 나면 백업된 파일은 /var/opt/gitlab/bakups 폴더에 생성 된다. 소스를 가져다 gitlab을 설치한 경우 아래의 명령 사용 $ sudo -u git -H bundle exec rake gitlab:backup:create RAILS_ENV=production 복구는 나중에 직접 해본 후 글을 남길 예정... 참고: https://gitlab.com/gitlab-org/gitlab-ce/blob/master/doc/raketasks/backup_restore.md

운영체제/리눅스 2018. 7. 6. 15:31
[CentOS7] yum으로 GitLab 설치 방법

1. Install and configure the necessary dependenciesOn CentOS 7 (and RedHat/Oracle/Scientific Linux 7), the commands below will also open HTTP and SSH access in the system firewall.sudo yum install -y curl policycoreutils-python openssh-server sudo systemctl enable sshd sudo systemctl start sshd sudo firewall-cmd --permanent --add-service=http sudo systemctl reload firewalld Next, install Postfix..

운영체제/리눅스 2018. 1. 30. 23:41
[CentOS7] yum으로 Node.js 설치

# https://nodejs.org/ko/download/package-manager/ # root 권한으로 실행해야 함 # yum repository 갱신 # * 다른 버전의 node.js를 사용해야 한다면 위 url 참고 $ curl --silent --location https://rpm.nodesource.com/setup_8.x | bash - # node.js 설치 $ yum -y install nodejs

운영체제/리눅스 2018. 1. 30. 17:48
[CentOS7] yum을 이용한 mariadb 10.2 설치 및 실행

먼저 다음 URL을 보고 yum repository를 설정 한다. https://downloads.mariadb.org/mariadb/repositories/#mirror=kaist&distro=CentOS&distro_release=centos7-amd64--centos7&version=10.2 아래의 내용을 /etc/yum.repos.d/MariaDB.repo 파일에 저장 한다. # MariaDB 10.2 CentOS repository list - created 2018-01-11 07:40 UTC # http://downloads.mariadb.org/mariadb/repositories/ [mariadb] name = MariaDB baseurl = http://yum.mariadb.org/10..

운영체제/리눅스 2018. 1. 12. 12:21
[CentOS 7] PostgreSQL 10 설치 및 실행 방법

# PostgreSQL repository 설치 $ rpm -Uvh https://yum.postgresql.org/10/redhat/rhel-7-x86_64/pgdg-centos10-10-2.noarch.rpm # PostgresQL 설치 $ yum install postgresql10-server postgresql10 # PostgreSQL DB 초기화 $ /usr/pgsql-10/bin/postgresql-10-setup initdb #PostgreSQL 실행 $ systemctl start postgresql-10.service $ systemctl enable postgresql-10.service # postgre 계정 비밀번호 변경 $ su - postgres -c "psql" psql (..

운영체제/리눅스 2017. 10. 17. 01:16
[CentOS7] yum으로 docker 최신 버전 설치 및 실행

※ 아래의 모든 과정은 root 권한으로 진행 해야 한다. 1. 우선 yum update를 한다. $ yum update 2. docker의 yum repo를 추가 한다. $ vi /etc/yum.repos.d/docker.repo #아래 내용을 추가하고 저장한다. [dockerrepo] name=Docker Repository baseurl=https://yum.dockerproject.org/repo/main/centos/$releasever/ enabled=1 gpgcheck=1 gpgkey=https://yum.dockerproject.org/gpg 3. docker package를 설치 한다.$ yum install docker-engine 4. docker를 실행한다.$ systemctl st..

운영체제/리눅스 2016. 1. 30. 04:04
[CentOS7] 방화벽에 포트 및 서비스 추가, 삭제

CentOS 7 부터는 iptables 대신 firewalld를 기본으로 사용하는듯 하다. 방화벽에 포트 및 서비스 추가 # 서비스 추가 # 서비스 명에는 http, https, ssh 와 같은 서비스를 넣어주면 된다. # $ 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service=서비스명 $ 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service=http # 포트 추가 # $ 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port=포트번호/프로토콜 $ 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port=80/tcp 방화벽에 포트 및 서비스 삭제 # 위와 ..

운영체제/리눅스 2016. 1. 25. 11:38
[CentOS7] IP 새로 받아오기

root 권한으로 아래의 명령을 실행하면 새로운 IP를 받아 올수 있다. # release $ dhclient -v -r eth0 # renew $ dhclient -v eth0

운영체제/리눅스 2016. 1. 25. 10:19
[SVN] yum을 이용한 svn 설치 및 설정

먼저 yum을 이용해 subversion을 설치 한다. # yum install subversion svn의 데이터를 저장할 폴더를 생성 한다. # mkdir /home/svn 위에서 생성한 폴더로 이동한 후 repository를 생성 명령을 실행 한다. # cd /home/svn # svnadmin create repo repository 생성이 완료 되면 해당 폴더 하위에 conf 폴더가 생성 되며 conf 폴더 안에는 svnserve.conf라는 파일이 존재 한다. # vi /home/svn/repo/conf/svnserve.conf 아래는 vi로 열어본 svnserve.conf 파일의 내용이며 아래와 같이 수정 하자. ### This file controls the configuration of ..

운영체제/리눅스 2012. 5. 30. 15:37
[CentOS] yum을 이용해 tomcat 6.0.35 설치

# yum install yum-priorities # cd /etc/yum.repos.d/ # wget http://jpackage.org/jpackage50.repo 자바가 설치 되어 있지 않을 경우 자바 설치# yum install java # yum install tomcat6 tomcat6-webapps tomcat6-admin-webapps 참조 사이트 : http://www.how2centos.com/installing-tomcat-6-on-centos-5-5-tutorial/ ※ tomcat7 설치 방법

운영체제/리눅스 2012. 5. 8. 16:16
CVS, SVN 폴더 삭제

find . -name CVS -prune | awk '{print "rm -rf " $1}' | sh find . -name .svn -prune | awk '{print "rm -rf " $1}' | sh

운영체제/리눅스 2012. 5. 4. 18:03
sudo 설정 (sudoers)

sudo 명령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/etc/sudoers 파일을 수정 해야 한다. ## Sudoers allows particular users to run various commands as ## the root user, without needing the root password. ## ## Examples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ile for collections ## of related commands, which can then be delegated out to particular ## users or groups. ## ## This file must be edited with the 'visudo' command. ## Host Aliases ## ..

운영체제/리눅스 2012. 5. 4. 10:43
[CentOS] HDD 속도 측정

> hdparm -tT /dev/sda /dev/sda: Timing cached reads: 20724 MB in 2.00 seconds = 10375.81 MB/sec Timing buffered disk reads: 304 MB in 3.02 seconds = 100.60 MB/sec > hdparm --help hdparm - get/set hard disk parameters - version v6.6 Usage: hdparm [options] [device] .. Options: -a get/set fs readahead -A set drive read-lookahead flag (0/1) -b get/set bus state (0 == off, 1 == on, 2 == tristate) -B..

운영체제/리눅스 2011. 3. 29. 03:38
[CentOS 5.5] yum을 이용한 samba 설치

1. samba 설치확인 > rpm -qa samba 2. yum 으로 samba 설치 > yum install -y samba 3. samba 설정 > vi /etc/samba/smb.conf 파일을 수정 # 캐릭터셋 설정 unix charset = utf-8 dos charset = utf-8 display charset = utf-8 # 워크그룹 설정 workgroup = WORKGROUP server string = Samba Server Version %v # 접속 허용 IP 설정 (192.168.0.* 허용, 123.123.123.123 허용) hosts allow = 192.168.0. 123.123.123.123 # 특정 유저 허용 security = user passdb backend =..

운영체제/리눅스 2011. 3. 29. 02:35
iostat

장치, 파티션, NFS에 대한 CPU 및 I/O 상태 Linux의 경우 yum을 이용하여 설치가 가능하다. iostat는 sysstat에 포함되있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yum으로 검색하여 설치를 하자 sysstat 찾기 $yum list | grep sysstat sysstat.x86_64 7.0.4-3.fc8 installed sysstat 설치 (fedora8 64bit를 사용하므로 64bit용으로 설치) $yum install sysstat.x86_64 사용법 사용예1) # iostat Linux 2.6.23.1-42.fc8 (gorda-repl) 2008년 04월 16일 avg-cpu: %user %nice %system %iowait %steal %idle 1.79 0.00 0.13 0.61 0..

운영체제/리눅스 2010. 6. 16. 13:13
이전 1 다음
이전 다음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  • 모바일과 PC에서 폰트 크⋯
  • proxy 설정 시 502 bad ga⋯
  • [MariaDB] 여러개의 sql⋯
  • [MariaDB] Server has gon⋯
최근에 달린 댓글
  • getServletContext().getReal⋯
  • 이런 유용한 방법이있었네요⋯
  • eq는 먹는데 equals는 안먹네⋯
  • 잘 배우고 갑니다~
Total
430,174
Today
54
Yesterday
183

Blog is powered by Tistory / Designed by Tistory